top of page
편두통

편두통의 증상

 

하루 중 어느때고 갑자기 주로 머리의 한쪽이 아프기 시작하여 혈관이 뛰는듯한 통증이 수 시간에서 수 일 지속될 수 있다.

 

 

ㆍ두통이 없는 편두통(headache free migraine) :

특이하게도 두통이 없이 시력의 장애, 구역,구토, 설사, 다른부위 통증, 열, 어지러움이 있는 편두통을 말한다.

 

ㆍ편마비 편두통 :

일시적으로 신체의 한쪽이 마비가 오는 두통 두통 발생 후 10-90분에 발생한다.

 

ㆍ지속적 편두통(status migrainosus) :

매우 드물지만 3일이상 지속되는 중증 편두통이다.

 

ㆍ뇌저동맥 편두통(basilar artery migraine) :

뇌혈관의 장애로 오는 편두통으로 어지러움, 두개로 보이는 복시, 근육운동의 조화가 안됨 청소년이나 젊은 여자에 많고 생리와 관계된다.

 

ㆍ안 편두통(opthalmic migraine) :

눈 주위 통증, 눈꺼풀이 쳐지면서 복시 등이 나타난다.

 

 

 

 

편두통의 원인

 

편두통을 일으키는 원인은 아직도 확실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ㆍ혈관설(vascular theory of Wolff, 1938) :

편두통이 생기려면 혈관의 국소적인 수축으로 뇌에 피가 부족해지는 뇌허혈 상태가 되어 전조증상이 발생하고 혈관이 다시 확장되면 두통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와같은 혈관의 이상반응이 계속되면 혈관벽이나 혈관 주위조직에서 무균적 염증이 생겨서 처음의 욱신욱신 하던 박동성 두통이 나중에는 욱신거림이 없어지는 비 박동성 두통으로 변할수 있다.
그러나 두통발작시 뇌혈류를 측정해보면 뇌 혈류와 혈관의 수축 이완의 관계를 설명하기가 어렵다.

 

ㆍ세로토닌설(serotonergic abnormalities) :

편두통 은 발작전 혈소판의 세로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의 함량이 증가하고 발작시에는 세로토닌의 농도가 감소하며 소변에서는 세로토닌과 그 대사산물의 농도가 증가한다.

ㆍ단일아민설(monoamine theory) :

편두통 환자는 중추의 단일아민계에 불안정성이 있다. 두통의 전조증상시기에는 공복이나 졸리는 현상은 시상하부자극, 청반핵자극으로 노아드레나린,아드레나린계에 작용, area postrema 에 혈류 이상으로 구역, 구토를 일으킨다.

 

ㆍ삼차신경혈관계의 작용(Role of trigeminovascular system) :

삼차신경은 두통을 전달하는 중요한 통로이며 삼차신경의 무수신경(unmyelinated fiber)이 뇌혈관에 분포하는데 이 신경을 통하여 통증의 전달과 자율신경의 조절이 이루어 진다. 이 신경의 말단부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P(substance P)가 나오며 혈관 확장, 혈관 투과성 증대등이 무균성 염증상태가 되어 두통이 유지된다.

 

ㆍSpreading depression of Leao :

브라질 생리학자 Leao는 1944년 유해자극이 뇌피질에 가하면 후두엽에서 전두엽으로 향하는 뇌피질 억제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전형적 편두통에서는 볼수있으나 보통 일상적 편두통에서는 볼수 없다

 

긴장성두통

긴장성두통

 

긴장성 두통은 가장 흔한 두통의 하나이다.
이전에는 근 수축성 두통이라고 해서 근육 긴장을 중시 하였으나 실제 근육 긴장이 없는 경우도 많다.
원인으로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직접 간접으로 근육 긴장을 일으켜 이것이 혈액 순환의 장애를 일으킨다.
혈액 순환장애는 국소적으로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축적시켜 육체적 고통을 증가시킨다.
만성화된 통증은 스트레스와 더불어 상승작용을 일으켜 우울증 신경증적 반응을 일으켜 증상이 복잡해진다.
이러한 통증이 오래되면 약물에 잘 듣지 않게 되어 특수 검사(CT, MRI) 등을 해 보지만 거의 정상 소견이어서 정신과적 치료를 받는 경우가 흔하다.

군발두통

군발두통

 

눈주위와 눈 속 깊은 곳에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 만성 두통중에 가장 격렬한 통증을 느끼는 두통 중의 하나이며 혈관성 두통의 일종이다. 따라서 군발두통이 시작되면 환자의 공포는 상상이상의 괴로움으로 합성마약 계통의 진통제를 반복 사용하여 이러한 약에 환자는 의존하게 되고있다. 남성에 많고 20-30대에 처음 발생한다. 두통의 발작이 되면 1회 30분에서 수시간 지속되며 수주간에서 1-2개월 동안에 수시로 발생한다. 관해기(통증이 전혀없는 기간)는 6개월에서 수년간에 이를 수 있으며 두통이 자는 동안에 많이 발생하여 잠을 깨는 경우도 있다. 안구 결막에 충혈 되고 코가 막히거나 눈물이 나고 동공이 적어지고 눈꺼풀이 무거워져 내려 안거나 붓는다. 따라서 감기에 걸린줄 알고 감기약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전혀 효과가 없다. 구역질,구토는 편두통에 비해 적고 구토는 거의 드물다.

군발두통의 진단기준

 

ㆍ아래의 항목을 충족하는 5회 이상의 발작이 있을 때

 

ㆍ치료하지 않으면 15~180분 동안 지속하는 심한 일측성 안와, 안와상부, 또는 측두부통증

 

ㆍ다음중 적어도 한가지 증상이 두통과 함께 있을 때

 

ㆍ결막충혈, 눈물, 코막힘, 콧물, 이마와 얼굴의 땀, 축동, 안검부종

ㆍ발작빈도 : 격일에서 8일

외상두통

외상두통

 

머리나 목에 외상을 받은 후 자율신경증상(어지러움, 땀이 남, 손 다리가 차다)과 고도의 인식능력(기억, 집중, 기분, 언행일치)의 장애가 동반되는 두통이 발생하는 것을 외상성 두통이라고 한다.
두통은 사고직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두통은 70%는 수주내에 없어지며 30%에서는 수년간 지속될수 있다. (만성 외상성 두통 : 외상 후 3개월 이내에 시작하고 3개월 이상 두통이 지속되나 경막하혈종이나 뇌수두증이 없어야 한다.)

코스비한의원

몸과 마음의 균형을 바로잡고

뇌신경계의 기능을 회복시켜

건강을 찾아드립니다.

코스비한의원 대표번호
051-202-4445

본원: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 336-1번지 사업자등록번호: 603-90-38683 코스비한의원 대표: 오창선

TEL. 051-202-4445  FAX.051-202-7515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변지연  [개인정보처리방침]

bottom of page